이삭누룩병(稻麴病, False Smut, Ustilaginoidea virens)
1. 병징 및 피해
1998년과 2003년에 전국적으로 발생이 심하였으나 해에 따라 발생이 불규칙하지만, 이삭 팬 때를 전·후하여 저온다습, 일조부족에 의해 발생이 조장된다. 피해는 벼알에 형성된 후막포자에 의해 도정을 하여도 쌀알이 검게 되므로 품질이 떨어진다. 이 병은 벼알에서만 발생하며, 초기에는 벼알의 표면에 황녹색을 나타내어 육안으로 쉽게 구분되고, 시간이 지나면 벼 껍질이 약간 열리고 황녹색의 돌출물이 보이며 표면에 가루모양의 후막포자가 형성되면 검은색으로 변한다. 이삭누룩병으로 인한 수량의 감소는 그리 크지는 않지만 발병이 심할수록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삭누룩병의 병징
2. 발생생태
병원균은 균핵 또는 후막포자로 월동하고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되는데, 발병된 벼알에 형성된 균핵은 주로 토양에서 월동하고 다음해 7∼8월경 발아하여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에서 유출된 자낭포자가 공기 중으로 날아올라 수잉기의 엽초에 부착되었다가 벼꽃이 팰 무렵에 벼꽃을 통하여 벼알로 침입한다. 벼 이삭누룩병은 질소질 비료를 과다시용 하면 발생이 많아지게 되는데, 저온다습, 일조부족, 강우일수 등의 환경조건이 병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예년에 비해 벼 출수기에 강우일수가 유난히 많고 일조시간이 매우 적은 1998년 중부지방에서는 이삭누룩병이 대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받은적이 있다.
3. 방제방법
발병되지 않은 포장의 건전한 종자를 사용하며, 질소비료나 유기질 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특히 질소질 비료의 만기웃거름은 발병을 조장하므로 주의한다. 규산질 비료의 시용은 발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병 발생초기에 적용약제를 사
용하여 방제한다. 상습발생지에는 조생종 품종으로 바꾸어 재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하겠다.
이삭누룩병 사진
사진을 누르면 크게볼 수 있습니다.
내 modoo! 홈페이지, 더 많이 방문하도록 홍보하고 싶다면?
네이버 검색창에 "AgriPictures@"으로 검색하도록 안내하세요.
"홈페이지명"에 "@"을 붙여 검색하면
네이버 검색에서 modoo! 홈페이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기호 @은 영어 "at(~에)"를 뜻하며, 홈페이지 주소 modoo.at에서 at을 의미합니다.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