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줄기와 뿌리 병해
(1) 눈무늬병(Eye spot, Oculimacula yallundae)
(가) 발생
이 병은 밀 연작지에서 서늘한 기후와 습도가 높은 경우에 특히 토양 표면이습한 경우 다발생한다. 전 세계 밀 재배지에서 발생하며, 방제 약제 처리로수백만 달러의 비용이 쓰이고 있음. 발병 시 수량이 40%까지 감소되며 지속적인약제사용으로 내성균 출현이 보고되어 있다. 눈 모양의 반점이 아랫부분엽초와 줄기 지제부 부근에서 시작되는데 반점은 가운데 부분은 노란색을 띠고녹갈색이나 암갈색의 띠로 둘러싸이는 형태를 보인다. 심한 경우 반점 부위가약해지고, 부러지기도 하며 쉽게 도복을 일으켜 결국 식물체의 양분 공급 저해로곡립의 질이 떨어지고 성숙이 빨라져 이삭이 백화증상을 보이며 도복 등으로인해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나) 방제
가장 효과적인 방제법은 저항성 품종의 개발과 이용인데, 윤작도 병 발생을경감시키는 방법다. 적용약제가 없으며, 약제이용은 약제의 비싼 가격과 살균제 내성균의 출현을 야기하는 이유로 인해 장기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다.
(2) 잎집눈무늬병 (Sharp eye spot, Rhizoctonia cerealis)
(가) 발생
토양 전염성인 잎집눈무늬병균(Rhizoctonia cerealis)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밀, 보리, 귀리, 호밀 등의 화본과에서 주로 발생하며 특히, 밀 재배지에서 다발생한다. 봄철 서늘한 온도 하에서 건조하고, 일조시, 산성토양에서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밀 재배 시 이전 재배 작물의 감수성이 큰 경우 발생이 많게 된다. 수량 감소는 크지는 않지만 마름병(Take-all)이나 줄무늬마름병(Cephalosporiumstripe)과 함께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줄기 지제부 근처에 반점이생기는데 가장자리가 검은색으로 뚜렷하고 렌즈모양을 보인다. eye spot과 증상이 비슷하지만 병원균도 다를 뿐 아니라 반점의 가장자리가 안쪽보다 검은 경계가 뚜렷한 특징이 있다. 발아 전 후에 발생할 경우 모잘록병이나 줄기의 고사를일으키게 된다. 줄기나 전체 식물체를 죽이게 되는데, 대부분은 종실 크기와 수가 줄어드는 영향을 받으며, 수발아나 이삭의 백수 등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발생이 크지 않은 경우 건전한 줄기에 의해 지지되지만 심한 경우 도복을 일으키는데, 일정한 방향이 아닌 형태로 도복이 발생하여 회복되지 않는다.
(나) 방제
파종기 지연과 재식밀도가 발병 정도에 영향을 주며, 품종 간 저항성 차이는 있지만 효과적이진 않다. 작물의 생육을 좋게 하는 것이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보리에 적용약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음.
(3) 뿌리썩음병(Root and crown rot, F. graminearum, F. culmorum, F. avenaceum, F. equiseti)
(가) 발생
이 병은 병원균인 점무늬병균(Cochliobolus sativus ), 푸사리움(Fusariumgraminearum )과 혹독한 겨울 날씨와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병은 안쪽에서 영속적으로 눈에 띄지 않게 진행되고, 심한 경우 포장 전체를 고사시키게 된다. 입모가 불량해지고 생육이 불량하여 수량을 감소시키고, 종실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파종기의 따뜻한 지온과 수분 스트레스가 지속되는 경우, 겨울철 저온과 토양 수분 부족은 병의 발생을 일으키기 쉽게 하는 요인이 된다. 오래된 잎의 끝부분부터 증상 나타나며 노란빛으로 마름증상을 나타낸다. 토양 근처의 줄기부터 갈변되며 뿌리는 어두운 갈색으로 변하고 병이 지속되면 부패되는데, 초기에는 갈색/검은색 반점이 1차나 2차 뿌리에 발생한다. 이들 반점은 뿌리 모든 부위로 진전하는데, 길이는 다양하다. 감염된 관근은 흑갈색으로 변하게 된다.
(나) 방제
재배 방법이 중요한 방제 방법이 되는데, 적정 파종기, 지역에 적합한 품종 선택(내한성), 토양 건조 상태 방지를 위해 적정 파종 깊이와 적당한 복토·파종 전 종자 처리(약제 등)등이 방제에 효과가 있다